AWS SES - 도메인 계정 만들기
이전 포스트 Ghost 메일 보내기 - AWS SES 설정AWS SES - SNS 알림 연결 에서
네이버 스토어에서 소소한 물건을 판매하고 있는 서씨(바로 접니다;)는 요새 장사가 안됩니다. 새로운 상품을 기획하고 싶어도 장사가 안되다보니 투자할 돈도 떨어졌습니다.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지요. 돈이 없는 대신 시간이 많습니다. 전에는 시간에 쫒겨, 일정에 쫒겨 늘 마음졸이며 살았지만 지금은 쫄릴 걱정은 없습니다. 날이 맑으면 맑은대로, 흐리면 흐린대로 온전히 즐길 수가 있습니다.
아무튼, 이 시간을 활용하여 개인 블로그를 만들어보기로 하였습니다.
[로컬에 고스트 설치]
손쉽게 사이트 개발을 도와준다는 툴들 중, Ghost를 선택하였습니다. 오픈 소스라 무료이고 블로그형 사이트에 가장 적합해 보였습니다.
고스트 사이트(https://ghost.org/) 에 접속하여, 상단 메뉴 중 Resources > Developers 로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Get started 버튼을 클릭하면 어느 환경에 설치할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데, 저는 우선 Local install 을 선택했습니다. 로컬에서 먼저 작업을 해보고 호스팅 서버에 올리겠습니다.
음, 바로 제품을 내려주는 줄 알았더니 설명서를 보여주네요!
로컬버전은 SQLite3을 사용하고, 실제 서비스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써있습니다.(네, 알겠습니다.) 그럼 설명서대로 따라해보겠습니다.
1. 설치 전 필요사항
저는 MacOS를 사용하고 있고,
npm --version
node --version
으로 확인해 본 결과 제 컴에는 npm과 Node.js 가 이미 설치되어 있습니다. 설치가 안되어 있으신 분들은 Node.js 와 npm (또는 yarn) 먼저 설치하세요.
2. Ghost-CLI 설치
고스트 설치를 도와줄 명령어 툴(Ghost-CLI)을 먼저 설치하라고 합니다. 시키는대로 명령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Ghost-CLI를 설치 하려는데..
npm install ghost-cli@latest -g
응? 저는 permission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명령어 앞에 sudo 를 붙여 슈퍼 권한으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sudo npm install ghost-cli@latest -g
3. Ghost 설치
설치를 진행할 빈 디렉토리에 가서 아래 인스톨 명령어를 날려줍니다.
ghost install local
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자! 안내 메시지대로 http://localhost:2368 로 접속해봅니다.
알록달록 예쁜 사이트 화면이 보입니다!
어드민 화면인 http://localhost:2368/ghost 로도 접속해봅니다.
Welcome to Ghost! 라며 저를 반겨주는 깔끔한 화면이 나오네요.
안내대로 계정을 만들고, 스탭 초대는 건너뛰고 관리자 메인 페이지로 들어왔습니다. 아직 뭔지는 모르겠지만 대시보드도 있고 좋습니다. 정말 순식간에 블로그 (더불어 관리 페이지까지!)가 만들어졌네요. 감격스럽습니다. ㅠㅠ
우리가 방금 설치한 고스트는,
캐싱 처리가 적은 개발 모드(development mode) 이고
SQLite3 이 자동 세팅되었으며 데이터는 /content/data/ 에 위치,
그리고 로그는 stdout 으로만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서에 쓰여있습니다.
그리고 시작, 종료 명령어입니다. 고스트가 설치된 디렉토리 안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사이트가 만들어진건 좋지만, 음.. 디자인이 제 취향에는 좀 안맞네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원하는 디자인을 찾으러 Ghost Theme 채널로 가보겠습니다.